본문 바로가기

협업/Git6

git - 커밋 메세지, gitflow 하나의 커밋에는 한 단위를 작업을 넣기 한 작업을 여러 버전에 걸쳐 커밋하지 않기 여러 작업을 한 버전에 커밋하지 않기 커밋 메세지는 어떤 작업이 이뤄졌는지 알아볼 수 있게 작성 커밋메세지 예시 type: subject body (optional) ... ... ... footer (optional) 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 feat: 압축파일 미리보기 기능 추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압축을 풀기 전에 다음과 같이 압축파일 미리보기를 할 수 있도록 함 - 마우스 오른쪽 클릭 - 윈도우 탐색기 또는 맥 파인더의 미리보기 창 Closes #125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fix 버그 수정 docs 문서 수정 style 공백, 세미콜론 등 스타일 수정 refa.. 2024. 1. 17.
Git - 협업 시작하는 법 협업 시작 방법 Clone, Branch # 회사 repository 내 레포지토리로 복사 git fork # 내 레포지토리에서 git clone 하는 법 git clone "가져올 원격 저장소 주소" 폴더명(폴더명 설정 안해주면 원격 저장소 이름으로 폴더가 생성됩니다.) # 특정 브랜치 clone # git clone -b (git repository 세팅에 팀원 깃헙아이디 등록해놔야 팀원들이 git push가 가능합니다.) # 협업 시작! (git 브랜치 전략!) # develop 브랜치 생성 git branch develop -> 브랜치 생성 # feature 브랜치(feature/login)를 'develop' 브랜치('master' 브랜치에서 따는 것이 아니다!)에서 분기 git checkout.. 2022. 10. 8.
Git - 서로 다른 branch에서 같은 파일 수정 시 충돌 오류 해결 방안 git으로 협업을 하다보면 여러 branch들이 생깁니다. 그러다보면 종종 conflict이 일어나는데 그 중 제일 많이 일어나는 충돌이 pull 충돌, 그리고 같은 파일을 수정할 때 일어나는 충돌입니다. pull 충돌은 저번에 포스팅하였고 오늘은 같은 파일을 수정할 때 충돌 오류 해결 방안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. 예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. main branch 와 new branch의 사람은 서로 같은 파일을 수정하는지 모릅니다. 그래서 각자 열심히 수정을 하고 있습니다. 이렇게 서로 다른 branch에서 파일을 수정한 후 commit을 해준 후 main branch가 작업이 먼저 끝났습니다. 그래서 먼저 push를 한 후 뒤늦게 끝난 new branch에서 push를 해주려할 때 파일이 충돌합니.. 2022. 9. 14.
Git - Revert, Reset에 대해서 알아보자 Git을 사용하는 도중 commit을 해버렸는데 이전 상태로 돌아가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할까요? 참 난처하죠..? 이럴 때 revert와 reset 명령어를 사용해준답니다. Revert ? 현재에 있으면서 특정 사건을 없었던 일로 만드는 행위라 볼 수 있습니다. 이거는 바로 예시로 알아보겠습니다. vscode 확장프로그램에서 git graph를 설치해주세요 그럼 아래처럼 그래프로 history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ex) commit 1, commit 2, commit 3을 순서대로 하였을 때 저는 현재 commit을 총 3번을 한 상태입니다. 여기서 저는 두번째 파일 commit을 지우고 싶어졌어요. 그럴 때 revert를 사용합니다. git revert 커밋아이디 # 바로 전으로 되돌아가고 싶다면 .. 2022. 9. 13.
Git - 협업 시 오류 현상 해결 방안 (Pull) 협업을 할 때 여러 branch들이 push할 때 충돌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는거 아시나요?? 쉽게 말하자면 원격 리포지토리(github)와 로컬 리포지토리(vscode)의 상태가 다르면 충돌이 일어납니다.😅 💡 해결 방안! # pull 방법 git pull "원격 저장소 주소" 혹은 git pull 원격 저장소 이름(보통 origin) 가져올 branch명 소소한 팁💡 전 게시물에서 말했듯이 처음 git push할 때 git push -u origin main (-u는 리포지토리 주소를 기억해라라는 뜻입니다.)을 해준다면 git push만으로도 push가 되고 git pull도 주소 입력없이 바로 git pull만 적어도 된답니다! pull로 변경된 파일을 내 로컬 리포지토리에 가져오고 push를 한다면 .. 2022. 9. 13.